담당자정보
- 부서 : 대변인
- 문의전화 : 043-220-2063
충북도, 시·군과 함께 민선8기 투자유치 60조 달성을 위해 달린다! | |
내용 |
충북도, 시·군과 함께 민선8기 투자유치 60조 달성을 위해 달린다!
- 민선8기 투자유치 60조 조기 달성 목표, 남부 3군 및 제천, 괴산, 단양으로 투자유치 확대 - 충북도가 시·군과 긴밀한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의 투자유치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청주, 음성, 진천 등 중부권에 집중된 투자를 상대적으로 기업의 투자가 적은 남부권(보은, 옥천, 영동) 및 중·북부권(제천, 괴산, 단양)까지 확대하여 민선8기 투자유치 60조 달성에 박차를 가한다. 우선, 도·시군 합동 투자유치 활동을 전개하여 충북의 핵심 전략산업인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의 첨단산업 분야 유치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2025년 3월 31일 기준 투자유치실적은 1,127개사 56조 1,584억원으로 93.6%의 달성률을 보이는데, 이 중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분야의 투자는 약 42조원(약 74.7%)을 달성하며 세계적인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충북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SK하이닉스 M15X 20조원, LG엔솔 오창공장 신증설 4조원 투자 유치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충북도는 도·시군 PM(Project Manager) 제도, 투자 애로해결 TF팀 운영 등 시·군과 긴밀히 협력하여 투자의 초기 단계부터 실제 투자 이행까지의 전 과정에서 전력·용수 공급 등의 애로 해결과 건축·환경 등의 인허가 행정 지원을 통해 핵심 앵커기업을 유치하여 민선8기 투자유치 60조 달성을 조기에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각 시·군의 투자유치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주요사업 현장방문도 추진한다. 충청북도 투자유치과(과장 김두환)에서는 단양(2월), 충주(3월), 옥천(4월)을 방문하였으며, 오는 4월 14일(월)에는 보은군 경제정책실 직원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기업유치활동 시 발생하는 민원 등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보은제3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 승인 신청과 관련하여 관계기관 협의, 주민의견 수렴 등 전반적인 산단 승인 절차에 대한 논의도 실시한다. 제천, 영동 등 나머지 지역도 상반기 내에 방문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분기별로 도 시·군 투자유치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상반기에는 충청북도 투자유치 전략마련 워크숍도 개최하여 민선8기 투자유치 전략을 공유하고, 시·군 및 산업단지 관계기관 등과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남부 3군 및 제천, 괴산, 단양의 산업단지 투자유치 기반 조성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충북도는 올해 1월 고시한 2025년 충청북도 산업단지 지정계획(총 21개소) 중 남부권인 보은제3산업단지, 북부권인 제천제4산업단지 등 2개소의 지정계획을 우선 반영한 바 있으며, 옥천, 영동, 괴산, 단양도 연내 추가 반영을 계획 중이다. 신규 산업단지 계획 수립 시 단계별로 발생하는 애로사항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승인기간을 단축하는 ’산업단지 인허가 컨설팅’도 남부3군 및 괴산 및 북부권(제천, 단양)을 대상으로 운영 중이다. 올해에는 보은, 영동 등 2개 시군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진행하였으며, 관계기관 협의 중 보완, 부동의 등에 대한 재협의 방안을 안내하는 등 승인 기간 단축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연내에 아직 실시하지 않은 시·군에 대해서도 컨설팅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두환 투자유치과장은 “앞으로의 투자유치는 기업과 산업단지가 집중된 중부권 이외에도 기업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남부3군 및 중·북부권(괴산, 제천, 단양)의 기업수요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각 시·군과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하여 이러한 투자유치 방향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다. |
---|---|
파일 |

"공공저작물 표시여부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